2012년 9월 26일 수요일

디아블로3 게임을 위한 PC 업그레이드




2012년 말도 많고 탈도 많던 대작 디아블로3에 맞춘 필자의 PC 업그레이드 기록이다.
디아블로3가 나온지 벌써 4달째 이고 진작 여름에 포스트 할 계획이었지만 일상의 바쁨과 귀차니즘 때문에 이제 올려본다.

필자의 PC는 2008년 하반기에 맞춘 일명 켄츠 할베 이다.
켄츠 할베라는 이름은 나온지 오래됐지만 아직도 잘돌아가는 켄츠필드 Q6600 CPU의 별명이다

기존 사양은 다음과 같다.

CPU : Kentsfild Q6600 2.4@3.2
RAM : 4G (G.Skill) CL 4-4-4-12
MB : GA-EP45-UD3R
VGA : ATI HD4670
Sound : 내장 사운드 AC97 codec
HDD : Seagate Barracuda 7200.11 500G
Monitor : Samsung T240HD 23" LCD TV monitor
Power : Seventeam ST-450P-AM
OS : Windows 7 64bit

한때 국민오버로 잘 알려진 Q6600 시스템이다. 기본 클럭 2.4Ghz 이지만 보통 3.0~3.2 정도 무난하게 오버 클럭이 잘 되었기 때문에 매우 인기를 끌었다. 헤비 유저 같은 경우 4.0G 이상도 성공한 사례도 있다.

횟수로 4년정도 됐고 여차하면 새로운 시스템으로 갈아타야 하겠지만
그렇게 고사양 게임을 돌리지 않던 필자는 만족하며 사용중이었다.(실은 돈이 문제다.)
그러던 중 2012년 대작 디아블로3 출시에 못이겨 부분 업그래이드를 단행 하였다.

업그래이드 부분은 그래픽카드, 모니터, 사운드카드, 하드디스크 그리고 시피유 최대 오버클록 쿨링이다.

현재 사양은 다음과 같다.

CPU : Kentsfild Q6600 2.4G @ 3.8G + 잘만 CNPS 9900 MAX
RAM : 4G (G.Skill) CL 4-4-4-12
MB : GA-EP45-UD3R
VGA : AMD HD6950 @ HD6970
Sound : Sound Blaster Recon 3D Champion
HDD : Seagate Barracuda 7200.11 500G x 2 Raid 0 구성
Monitor : LG DM2792D 27" LED 3D TV monitor
Power : Seventeam ST-450P-AM
OS : Windows 7 64bit




-  켄츠 할베 극한 오버






우선 켄츠할베의 오버클록을 극한 까지 끌어 올리기로 하였다.

소비전력 문제로 기본 전압에 3.2Ghz로 사용하던 시스템을 전압 1.488V에 3.8Ghz로 안정화 시켰다. 3.8G까지 끌어올린 이유는 그래픽 카드를 HD6970으로 나름 하이엔드 급으로 선택했기 때문이다. CPU 성능이 받쳐주지 못하면 그래픽카드 성능도 제대로 뽑지 못한다는 말이 있다. 검색해보니 실클럭 3.8~ 4.0 정도가 적당하다는 결론이다.
오버 클록 발열을 잡기위해 선택한 쿨러는 CNPS 9900 MAX이다. 공냉 쿨러중엔 거의 갑인듯 한데 4.0 오버까지는 잡아 주지 못했다. 공냉의 한계인듯 보인다.

문제는 전기세와 한여름 발열이다. 오버클록 안정화의 필수 과정인 Prime95로 인해 다음달 전기세 폭탄을 맞아야 했다. 또한 오버클록시 발열은 필연적인 요소인데 나름 괜찮은 쿨러를 장착했단지만 지난 여름 가혹했던 무더위에 컴퓨터는 불을 내뿜으며 방은 사우나실이 되고야 말았다.






- 그래픽 카드




게임 시스템 업그래이드 중 가장 큰 효과를 보는 부분이 그래픽카드 이다.

필자의 그래픽 카드는 처음 맞출 당시에도 중저가 라인의 HD4670 이었다. 그 당시 하던 좀 된 게임들 둠3, 하프라이프2 등 무난히 잘 돌려 주었다.
사실 디아블로3도 그래픽 옵션 낮추고 권장 옵션으로 플레이 하면 별 무리는 없었다. 하지만 풀옵션에서 원할한 게임을 하고픈 마음이 우리네 마음인 것이다.

필자는 A당 ATi (현 AMD) 제품을 쭉 선호해오는 유저인데 이유는 별거 없다. N당 Nvidia 보다 나은 색감과 동영상 화질 때문이다. 그래서 엇비슷한 성능이면 AMD 제품을 선택한다.

이번에 선택한 제품은 HD6950 이다. 올해 HD7000 시리즈 대가 출시 되었지만 현시스템에서 가격대비 가장 적절하다 판단된 제품은 HD6950@6970 중고 제품이다.

사파이어 HD6950 레퍼런스 모델 그러니까 6970으로 변신이 되는 제품을 구입하였다. 몇가지 조작을 통하여 HD6970으로 변신 하였다. 변신 방법은 유명 포털에서 검색하면 금방 찾을수 있다.

변신결과 Shaders 부분이 1536으로 늘어난걸 확인 할 수 있다.

그래픽 카드 벤치 마크 프로그램인 3DMark 2011 결과는 P5166 점이 나왔다.
코어속도 올리고 윈도우 갈아 엎고 클린 상태에서 테스트 하면 좀더 스코어가 나올듯 하지만 귀차니즘 때문에 하지 못하고 있다.
세팅에 따라 대략 i5-750, i7-2600K 대와 비슷한것 같다. 파코즈 벤치마크 DataBase




그래픽 카드 교체로 얻는 이득은 화려한 풀옵션 그래픽이지만 그래픽 성능과 함께 플레이 능력이 대폭 상향 되었다. 약 20% 정도의 플레이 컨트롤 향상이 되었다는 느낌이다. 화려한 그래픽과 함께 캐릭터의 부드러운 움직임, 빠른 반응 속도가 플레이 능력 향상을 이끌어 냈다고 보고 있다. 디아블로3 1.03 불지옥 모드에서 죽는 횟수가 꽤 줄어 들었다.
하지만 대규모 물량전에서는 역시 프레임 저하를 피할수 없었다.



- 사운드 카드 




사운드 카드는 조금 지름신 강림으로 충동 구매였다.
언제 부턴가 컴퓨터의 사운드를 디지털 출력으로 듣다가 보니 외장 사운드 카드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했다.
그렇게 지내오다 디아블로3으로 인해 게임플레이시 3D 사운드 작동 즉 3D 사운드 연산시 내장 사운드로는 CPU에서 에뮬레이터 방식으로 연산되어 켄츠 할배에 부담을 줄거라 생각하고 외장 사운드를 장착하기로 나 자신을 설득하였다.

선택한 제품은 새로 출시된 사운드 블라스터 Recon 3D Champion 제품이다. 이제품에 중점을 둔 부분은 이름에서도 나타나듯이 3D 사운드 부분이었다. 그와 함께 영화관 사운드 효과를 내주는 THX TruStudio Pro 인증과 협동 플레이시 선명한 말소리를 전달할수 있는 CrystalVoice 기능이 있고 사운드는 24bit 96khz sampling rates 를 지원 한다. MP3를 플레이 해보니 그동안 잊고 살았던 외장 사운드의 섬세하고 깨끗한 사운드를 들을수 있었다.
외장 입출력 브라켓 이 필요없다면 일반 Recon 3D pcie 로 선택해도 무방하다.






- 모니터




모니터도 새롭게 바꾸고 싶었지만 금전상 교체 하려고 하지 않았는데 때마침 어머니 컴퓨터의 모니터가 고장 나는 바람에 우연히도 필연적이게 교체 하게 되었다.

기존에 사용하던 모니터는 삼성 23 인치 1920*1200 해상도의 16:10 와이드 모니터 였고
새롭게 구입한 모니터는 LG 27인치 1920*1080 해상도의 16:9 와이드 모니터 이다.
23인치에서 27인치로 커졌지만 가장 큰 차이점은 16:10에서 16:9로 이동했다는 것이다.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16:10 모니터가 조금 더 큰 영역을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 면이 더 좋다. 하지만 영화나 TV 같은 멀티미디어 쪽에서는 16:10 보다 16:9 화면이 더 큰 화면을 보여준다.

필자는 디아블로3 게임에서 1920*1200 (16:10) 해상도가 1920*1080 (16:9) 보다 위아래로 더 넓은 화면을 제공해 주리라 생각하고 있었지만 이미지 비교 결과 16:10 화면이 오히려 좌우 공간이  잘려 나온다는 충격적인 사실을 알게 되었다.

아래는 비교 사진이다.

1920*1200 16:10 화면

1920*1080 16:9 화면


위 두 사진을 비교해 보면 상,하 영역은 같지만 좌,우 영역은 16:9 비율이 더 많이 보여지고 있다.
디아블로3에서 16:10 모니터를 사용하면 더 좁은 영역에서 플레이 하는 것이된다.
결과적으로 모니터 교체후 더 넓은 영역을 확보 하여 플레이 능력에 이득이 되었다.

필자가 구입한 모니터는 LG DM2792D 27인치 IPS LED 3D TV 모니터인데 올 8월에 출시하면서 한달 동안 디아블로3 게임과 키보드 마우스 셋을 증정하는 이벤트가 있었다. 애플 스러운 디자인으로 가격적으로 동급 모델에 비해 비싼 단점이 있다. 비슷한 기능이지만 저렴한 모니터로 LG DM2752D가 있다.

27인치로 이동하면서 한가지 단점은 픽셀 도트가 보인 다는 것이다. 책상에서 1920*1080 해상도는 27인치가 마지노선 인듯 보인다.






- 하드 디스크


자금이 넉넉하다면 SSD 로 하는게 최상이지만 차선책으로 2개의 HDD Raid 0 로 구성을 하였다.

Raid 0 구성시 체감 성능을 꽤 느낄수 있었다. 윈도우 부팅 속도, 프로그램 구동속도 등 전반적인 성능 향상이 있었다. 하지만 윈도우 체험 지수는 변함 없이 5.9점으로 표시 되었는데 테스트 방식에 뭔가 문제가 있는듯 보인다.


하드디스크 벤치 마크







예외적으로 SSD를 추가 하거나 HDD x 4 Raid 0로 구성하는것을 제외하고는 앞으로 이시스템이 수년은 갈 것으로 예상된다. 켄츠 할베가 뻣는 그날 까지..
2012년 여름 휴가를 대신한 PC 업그레이드로 디아블로3와 함께 불지옥을 경험하였다.
가뭄과 이상기온이 수 주 지속된 열대야 속에 지구는 점점 불지옥을 향해 달리는듯 하다.

그나저나 정복자 레벨은 언제쯤 달성 할수 있을지..

















쿠오오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