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8월 22일 수요일

아이폰5 출시시 국내 LTE 지원 변수



가칭 아이폰5가 다음달 9월 12일 출시가 유력해지는 가운데 여러가지 스펙을 떠나 과연 국내 LTE 주파수가 지원 될 것인가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관련기사

아이폰5 출시 관전 포인트를 주파수 관점에서 보면 다음과 같다.
1. 국내 LTE 지원시 이통사 4G 전용 가입
2. 국내 LTE 지원시 이통사 4G, 3G 동시 가입
3. 국내 LTE 미지원시 이통사 3G 가입

갠적으론 과거 애플 성향을 봤을때 국내 LTE 주파수 지원은 따로 없을거 같다는 생각이다.
지원을 하더라도 우선적으로 북미 출시후 협상으로 출시 하던가 말던가 그럴것 같다.(가능성 희박)

KT의 LTE 주파수가 유럽과 같은 대역이라는 것 때문에 애플이 유럽시장을 위해 출시 한다면 KT의 LTE 출시가 확정되겠지만 출시 전까지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
만약 아이폰5가 국내 LTE 주파수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이통사들이 3G로 출시? 하겠지만(한다면) 희비가 엇갈릴 것이다.

3G로 출시 할 경우 가장 문제가 큰 이통사는 KT이다. 이유는 지금 KT의 3G 망이 막말로 개판오분전이기 때문이다. 늦은 LTE 출시로 3G 망에 가입자가 찰대로 차서 대역폭 여유가 거의 없다고 판단된다. 갠적으로 KT 아이폰4s 사용중이지만 3G 데이터 통신이 불통 되는 경우가 종종있다.


KT 아이폰4s 3G(HSPA+) 업로드가 0이다. 다운로드는 고작 1.2

한 언론의 KT 3G 망 문제에 대한 기사를 보면 많은 사람들이 KT 3G망에 불편을 겪는듯 보인다. 관련기사

KT 3G 망을 비유하자면 출근길 지하철 지옥의 구간 (잠실,사당,건대..)정도로 한마디로 옆사람과 비비적 대는 매우 짜증나는 상황이다.
이 상태에 추가적으로 아이폰5를 3G로 가입을 진행 한다면 기존 가입자는 물론 새로 가입한 가입자까지 엄청난 불편을 초래 할것이고 KT는 비난에 직면하지 않을수 없을 것이다.
올초 KT의 껄그러운 2G 망 종료와 함께 안좋아진 이미지가 3G 망으로 점점더 안좋아 지고있다.




반면에 3G로 출시시 이득을 보는 곳은 SKT 일 것이다.
KT 와 비교해서 주파수 대역폭이 20Mhz 더 많은 상황이기 때문에 (KT 40Mhz : SKT 60Mhz)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어 아이폰5의 3G 출시도 크게 문제 되지 않을 것이다. 과거 콸콸콸 광고를 제작한 이유도 20Mhz 더 많은 대역폭 자신감에서 나왔던것 같다.



아이폰5의 LTE 지원 주파수 여부에 따라서 KT는 LTE 가입 , SKT 는 3G 가입 이런 상황도 배제할 수 없을 것같다.